본문 바로가기

반려견 지식N정보

(65)
다견가정 서열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딩가N쵸파 입니다! 오늘은 많은 다견가정 견주님들, 혹은 다견가정을 꿈꾸는 분들이 궁금해하실만한 내용을 주제로 포스팅을 진행해볼텐데요. 바로 다견가정 "서열싸움" 입니다. 첫째 강아지를 기르다가 둘째를 입양하게 되었을 때, 새로운 문제에 직면하게 되죠. 바로 강아지들 사이의 미요한 기싸움 입니다. 바로 두 아이가 사이 좋게 지낸다면 더 바랄 게 없이 좋겠지만, 그렇게 되는 경우가 잘 없는 것 같아요. 보통은 첫째 강아지가, 둘째 강아지를 경계하며 으르렁 거리기도 하고, 심한 경우는 입질을 하기도 하죠. 반대로 첫째 아이는 소심하고, 이제 막 들어온 둘째 아이는 똥꼬발랄한 성격이어서, 둘째가 첫째에게 달려들며 놀자는 시그널을 보내고, 첫째는 그것을 힘들어하는 상황이 생기기도 해요. 무튼, 이런..
강아지 명절 증후군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딩가N쵸파 입니다! 추석을 코앞에 두고 있는데요, 요새는 코로나 때문에 이전 명절처럼 많은 사람들이 이동하진 않을 것 같아요. 그리고 우리부터가 이번 명절만큼은 집에 있도록 계획하는 것이 좋겠죠? 그래도 이런저런 사정으로 명절때 집을 비우게 되거나, 가까운 가족친지들이 집에 방문하게 되는 경우가 (없으면 좋겠지만..) 있을 수 있겠죠? 그럴 때 견주로서 기억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 오늘 살펴보기로 해요! 우선 집을 비워야 하는 경우를 생각해보도록 할까요? 많은 분들이 애견호텔이나 동물병원에 강아지를 맡기시죠. 갇힌 공간에 있는게 익숙하다면 그런 곳들도 괜찮을 수 있어요. 하지만 집과는 다른 환경인데다 다른 동물들도 많이 있고, 답답한 공간에 갇혀있는게 큰 스트레스로 다가올 수도 있죠. 그래서 ..
새끼 강아지 목욕 시기와 방법 안녕하세요, 딩가N쵸파 입니다! 오늘은 새끼 강아지가 목욕을 시작해도 괜찮은 시기와 어떤 점들을 주의해야 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대부분의 주제가 그러하듯 이 또한 절대적인 정답이 있는것이 아니기 때문에 참고만 하시고, 내 강아지에 맞게 적용하시길 바랍니다. 우선, 새끼 강아지가 언제쯤 첫 목욕을 해도 되는지 살펴보도록 할까요? 갓 태어난 강아지들의 신체 기관이 안정화 될 정도로 자라나는 데에는 빠르면 2개월에서 3개월까지 소요됩니다. 따라서 생후 3개월 전후의 강아지라면 목욕을 시작해봐도 될 것 같은데요. 그렇다고 해서, 3개월 된 강아지를 입양한 경우 집에 데려오자마자 바로 목욕시켜도 된다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이제 막 집에 데려온 강아지가 새로운 환경에 익숙해 질 때까지 1주일 정도는 기다려 ..
새끼 강아지 예방접종 기간에 산책, 해도 될까? 안녕하세요, 딩가N쵸파 입니다 ! 저번 포스팅에서는 새끼 강아지의 사회화 훈련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함께 살펴보았는데요. 2020/09/25 - [반려견 지식N정보] - 강아지 사회화 훈련에 대하여 강아지 사회화 훈련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딩가N쵸파 입니다! 오늘은 강아지 사회화 훈련에 대해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강아지 사회화 훈련이란 무엇일까요? 쉽게 말하면, 다른 사람, 다른 강아지들과의 관계에 대해 �� ding-n-cho.tistory.com 오늘은 그 중에서도,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점을 주제로 포스팅을 진행해보겠습니다. 바로, "예방접종 기간 중에 산책을 시켜도 되는가?" 하는 문제입니다. 사실, 이 주제는 끊임없는 논란이 되고 있고 서로의 장단점이 너무 명확한 문제라고 할 수 있습..
강아지 사회화 훈련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딩가N쵸파 입니다! 오늘은 강아지 사회화 훈련에 대해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강아지 사회화 훈련이란 무엇일까요? 쉽게 말하면, 다른 사람, 다른 강아지들과의 관계에 대해 배우고, 독립성을 기르는 시기라고 할 수 있겠죠. 그렇다면 언제가 사회화 훈련을 하기에 가장 적합한 때일까요? 전문가들은 한 목소리로 생후 2~4개월이 가장 중요한 때라고 강조합니다. 이 2개월이 강아지의 평생을 좌우한다고 말하기도 하고, 이 때 경험해 보지 못한 모든 것들을 평생 무서워하고 경계하게 된다고 말하기도 하더라구요. 그러므로 사회화 훈련의 골든 타임이라고 할 수 있는 생후 2 ~ 4개월의 시기를 놓치지 않고 훈련해야겠어요! 그렇다면 어떤 훈련을 통해 강아지들의 사회화를 도와줄 수 있을까요? 첫번째 부면은 바로..
새끼 강아지 훈련 시기와 방법은? 안녕하세요, 딩가N쵸파 입니다! 새끼 강아지들을 입양하게 되면 도대체 언제부터 훈련해야 하는지, 어떻게 훈련해야 하는지가 궁금하죠. 배변훈련, 깨물지 않게 하는 훈련, 앉아 기다려 훈련 등 기본적인 훈련을 언제하는 것이 좋을까요? 오늘은 그 점에대해 살펴보도록 할게요! 강아지를 데려오게 되면 보통 2-3개월령의 아이들을 데려오게 되지요. 강아지는 생후 45일이 지나면 분별력이 생기기 시작한다고 하죠. 그렇기 때문에 2개월 이상이라면 훈련을 즉시 시작해도 강아지들이 받아들일 수가 있어요. 다만 집에 데려오고 나서 바로는 하면 안되는데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시간이 꼭! 필요하기 때문이에요. 어미개에게서, 혹은 익숙했던 펫샵에서 떠나 완전히 새롭고 모든게 처음인 환경에 왔는데 갑자기 훈련을 한다고 귀찮게..
강아지 잃어버렸을 때 행동요령 안녕하세요, 딩가N쵸파 입니다! 정말 상상도 하기 싫은 일이지만, 사람은 누구나 실수를 할 수 있기에 우리 강아지를 잃어버리게 되는 경험을 하게 될 수도 있겠죠? 평소에 아무런 지식이 없고 대비가 되어있지 않다면 실제로 강아지를 잃어버리는 일이 생길 때 손이 벌벌 떨리고 멘탈이 나가버려서 제대로 된 대처를 못하게 될 수 있어요. 그래서, 강아지를 잃어버렸을 때 어떻게 행동하는 것이 강아지를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을 훨씬 더 높여줄 수 있는것인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강아지를 잃어버렸다면, 흔히 말하는 골든타임이 3시간이라는 것을 기억해주세요. 그 시간이 지나면 절대 못찾는다는 것은 아니지만 가장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시간대라는 점을 기억해야 해요. 최대한 집중력을 높여 내 강아지를 찾아..
아픈 강아지가 보내는 신호들 ! 안녕하세요, 딩가N쵸파 입니다! 사람과는 달리 말 못하는 강아지들은 아픔이 있어도 제대로 의사전달을 하기가 어렵죠. 하지만 강아지들도 우리에게 보이는 행동을 통해 아프다는 신호를 보낸다는 점, 알고 계셨나요? 그렇다면 오늘은, 강아지들이 대체 어떤 행동으로 우리에게 신호를 보내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쉽게 아이들의 건강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은 바로 배변 상태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평소보다 너무 많은 양의 소변을 보거나 반대로 너무 보지 않거나, 대변의 상태가 너무 딱딱하거나 반대로 너무 묽어서 형태를 갖추지 않고 있다면 분명 정상 컨디션은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겠죠. 또한 평소에는 잘 가리던 배변을 갑자기 이상한 곳에서 하기 시작한다면 이 또한 강아지들의 건강에 이상이 생긴 징후일 수 있..
새끼 강아지 배변훈련, 시기와 방법은? 안녕하세요, 딩가N쵸파 입니다! 강아지에게 언제 배변훈련을 가르치는 것이 좋을까? 강아지를 입양해 오신 분들이 많이 궁금해 하시는데요. 오늘은 그 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강아지는 태어난 지 두 달만 되어도 어느 정도 분별력이 생긴다고 해요. 보통 강아지를 입양해 올 때 어미개에게서 모유수유가 다 끝나고 두 달이 넘은 상태에서 데려오는 경우가 많죠. 따라서 입양한 강아지를 집에 데려온 그 순간부터! 배변훈련을 시작해야한다, 라고 생각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어떻게 시작하는 것이 좋을까요? 많은 분들이 막 데려온 강아지를 예방접종이 다 끝날 때까지 울타리에 넣어두시더라구요. 그 안에 집 역할을 하는 쿠션과 밥그릇과 배변패드를 깔아두고 훈련을 하시는 경우를 많이 보았는데요. 경우에 따라 다를 순 있겠지..
손가락 깨무는 새끼 강아지 대처법! 안녕하세요, 딩가N쵸파 입니다! 새끼 강아지들은 아직 훈련이 안되어 있기에 보이는 모든 것이 궁금하고 깨물어 확인해보고 싶어하죠. 그런데 그 깨무는 대상이 내 손가락 발가락이라면? 마냥 유쾌하지는 않을거에요 ㅠㅠ 2,3개월된 아가들이 깨무는 건 아프지도 않고 귀여워보이기 때문에 이 때 제대로 훈련을 해주지 않는다면, 몇 개월 더 지나 이빨이 더 자라나서도 견주분이나 다른 사람의 손/발가락을 물게 되겠죠? (이거 많이 아픕니다 ㅠ) 그리고 아픈걸 떠나서도 멋대로 깨물지 않는 것은 매너이기 때문에 아주 어린 시기부터 교육할 필요가 있는데요. 그렇다면 어떻게? 말귀도 못알아듣는 새끼 강아지에게 그런 교육을 시킬 수 있을까요? 함께 살펴보시죠! ;-) 우선 많은 분들이 실수하시는 대처법은 물린 손이나 발로 강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