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가 콜레스테롤 수치에 미치는 영향
안녕하세요
딩가N쵸파 입니다!
현대사회의 기름진 식단으로 인해
높은 콜레스테롤 수치로 고생하시는 분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식단조절을 통해서
또는 체중감량이나 운동을 통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기도 하지요.
그런 분들이 간혹 놓치는 부분이 있는데요!
바로 "커피" 입니다.
기름진 음식들을 피해야 한다는 건 알지만
커피를 기름진 음식으로 여기지는 않는 경우가 많죠.
과연 그럴까요?
과연 커피는 콜레스테롤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오늘 그 점에 대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커피는 콜레스테롤 수치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커피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우리가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커피 종류인
아메리카노에 대해 생각해 보시죠.
아메리카노는 에스프에소에 물을 첨가한 음료인데요.
에스프레소는 커피 원두를 갈아서
필터 바스켓에 담고
머신에서 9기압의 압력으로
뜨거운 물로 추출한 음료에요.
커피콩 100g은 9-17g의 지방질을 함유하고 있다고 해요.
그런 커피콩을 고온의 물로 고압으로 추출해 내면
뜨거운 열에 커피 콩의 기름성분이 추출되고
그 기름이 작은 기름방울로 쪼개지고
거품화되면서 추출됩니다.
에스프레소나 아메리카노를 주문하면
음료 위에 뜨게 되는 거품처럼 보이는 크림이
바로 그 커피콩 기름인 "크레마"인거죠.
바로 이 크레마 즉 커피 기름 안에
"카페스톨" 이라고 하는 성분이 있는데요.
많은 연구에 따르면 이 카페스톨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인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혈관질환을 갖고 계신 분들
또는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거나
예방차원에서 주의가 필요한 분들은
조심할 필요가 있겠지요.
카페스톨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커피 종류는
피하는 것이 지혜로울 수 있습니다.
피해야 할 커피와 비교적 괜찮은 커피 종류
카페스톨을 많이 함유한,
즉 커피 기름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커피 종류엔 무엇이 있을까요?
우선은 아까 말씀드린
에스프레소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 에스프레소를 베이스로 한
다양한 커피 종류들도 피하는게 좋은데요.
에스프레소에 물을 탄 아메리카노
우유를 타서 만드는 카페라떼나 카푸치노,
거기에 다양한 시럽을 넣어서 만드는
카라멜마끼야또, 카페모카 등이 있겠네요.
에스프레소 머신이 없을 때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하게 되는
모카포트나 프렌치프레스로 만드는 커피도
기름을 걸러주지 못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집에서 많이 사용하는
캡슐커피 머신도,
커피 기름 즉 크레마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주의해야겠지요.
그렇다면 마셔도 비교적 괜찮은,
카페스톨이 많이 함유되지 않은 커피 종류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카페스톨 성분이 커피 기름에 포함되어있다 했으니
커피 기름이 없는 커피라면 괜찮다는 말이겠지요?
맞습니다.
그럼 커피 기름을 걷어내는 방법이 무엇일까요?
바로 종이필터 입니다.
종이필터를 사용해서 커피를 추출하면
커피 기름의 95%를 걸러낼 수 있다고 하는데요.
그러니 종이필터로 기름을 걸러낸 후 추출되는 커피는
비교적 괜찮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런 종류의 커피로는
종이 필터로 추출하게 되는 핸드드립커피,
찬물로 추출하는 더치커피가 있을 수 있겠네요.
기름이 많이 추출되는 커피를 피하고
기름을 걸러낸 커피를 찾아 마심으로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데
더 도움을 받을 수 있겠습니다!
콜레스테롤 수치 관리를 할 때는
먹지 말아야 할 음식도 정말 많죠..
커피를 좋아하는 분이라면
좋아하는 커피를 끊는다는 것도
정말 힘든 일일텐데요.
다행히도 모든 커피 종류가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는 것은 아니니
커피 기름을 제거해서 마실 수 있는
핸드드립커피나 더치커피에
맛을 들여보시는 건 어떨까요?
그렇게 콜레스테롤 수치를 잘 관리하셔서
건강을 잘 유지하시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포스팅이 유익하셨다면
구독과 공감, 댓글도 부탁드립니다!
그럼 저는 다음 포스팅으로
다시 돌아오겠습니다!
모두들,
안녕 :-)
'일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재감염이란? (6) | 2022.03.21 |
---|---|
콜레스테롤 높을 때 피해야 할 음식은? (8) | 2022.03.20 |
2022년 제60회 진해 군항제 벚꽃축제 전면 취소 (8) | 2022.03.18 |
스텔스 오미크론, 델타크론,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 (7) | 2022.03.17 |
아기 코로나 확진, 위험 증상과 대처방법은? (4) | 2022.03.16 |